본문 바로가기
내주변 잡초

집 주변 잡초 - 개갓냉이

by 식물길드장 2024. 11. 20.

 

 

안녕하세요! 오블완 챌린지 14일차! 시작하겠습니다.

 

어제에 이은 시골집 주변 잡초입니다.

사실 처음보는 잡초였습니다.

시골에서는 주기적으로 제초작업을 하기 때문에 이렇게 잘 자란 잡초가 거의 없거든요.

 

여름에도 이렇게 컸을 테지만, 그때는 볼 수 없었고 이제는 겨울이 다가오니 겨우 발견된 것 같습니다.

 

그럼 이름을 알아볼까요?

 

 개갓냉이
학명: Rorippa indica (L.) Hiern
계: 식물계
문: 피자식물문
강: 목련강 > 딜레니아아강
목: 풍접초목
과: 십자화과
속: 개갓냉이속
형태: 여러해살이풀

 

 

"개갓냉이"군요.

어제 포스팅한 냉이와 사촌정도 되는 녀석인 것 같습니다.

다만 다른점은 두해살이풀인 냉이와는 다르게 개갓냉이는 여러해살이풀이라는 점이네요.

 

물론 꽃이나 생김새도 다른 것이 전혀 연관성을 찾아보기는 힘든 것 같습니다.

 

그럼 국립생물자원관의 설명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민가 주변 길가, 경작지 및 산지 숲 가장자리의 햇빛이 잘 드는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20~50cm,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잎은 모여나며 길이 7~15cm, 폭 15~30cm,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 길이 6~15cm, 깃꼴로 갈라지며, 밑은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되고 귀 모양으로 줄기를 감싼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에서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4장, 좁은 도란형, 노란색이다. 수술은 6개 중에서 4개가 길다. 열매는 각과, 선형, 길이 15~25mm, 씨는 타원형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 일본을 비롯하여 서남아시아와 북미 등에 분포한다. 속속이풀에 비해서 열매는 좁은 선형으로 길고, 암술대는 짧고 굵으므로 구별된다.

 

 

민가 주변 길가, 들판, 산지 숲 등 어디에서나 잘 적응해서 사는 식물입니다.

그런 녀석들을 보통 우리는 잡초라고 부르지요.

 

잡초의 생명력은 정말 경이로운 것 같습니다.

매 여름마다 실행하는 예초 작업에도 꿋꿋하게 살아남았으니까요.

 

냉이는 전형적으로 식용하는 것과 다르게, 이 녀석은 보편적으로 식용하지는 않습니다.

저도 먹어본 적이 없거니와 주변의 어르신들 또한 드시는 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 녀석도 분명 나름대로의 활용성이 있을 겁니다.

어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십자화과"에 속한 녀석들은 거의 식용이 가능하다라고 했으니까 말이죠.

물론 맛은 보장하지 못하겠습니다.

 

우선 데이터들을 살펴보니 나름 연구된 흔적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대사체입니다.

 

매개채 방출 억제제
방사선 보호기
유전독성
전사인자 NF 카파 B 억제제
항균
항돌연변이
항염증
항저산소제
항콜레스테롤혈증
화학 보호

 

뭐가 많네요... 개갓냉이와 관련된 연관 대사체 리스트기 때문에 참고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를 뒷받침하는 효능실험정보는 나와 있지 않았습니다.

 

전통 구전입니다.

 

한채(蔊菜) - 한채는 일명 조채( 菜), 조의 음은 조(罩)이다. 일명 송미채(竦米菜)이다. 남방에서 나는 전원(田園)의 자잘한 풀이다. 겨울에 땅에 퍼져 무더기로 나며 길이는 2~3치이고 줄기는 부드러우며 잎은 작다. 3월에 작은 꽃이 피는데 황색이다. 작은 깍지를 맺는데 길이는 1~2푼이다. 깍지 안에 작은 씨가 있고 맛은 매우 맵다. 모래땅에서 나온 것이 더 맵다.

 

 

개갓냉이의 전초를 다른 말로 한채(蔊菜)라고 표현하는 것 같습니다.

 

한의학에서의 한채 효능입니다.

 

■ 청열해독(淸熱解毒)
개갓냉이는 열을 내리고 독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어, 염증성 질환, 종기, 피부 트러블 등에 사용됩니다.
적용: 열독으로 인한 염증, 발열, 인후통.

■ 이수소종(利水消腫)
소변을 원활하게 만들어 체내 수분 대사를 조절하고 부종을 가라앉히는 데 효과적입니다.
적용: 부종, 요도염, 배뇨 곤란.

■ 활혈화어(活血化瘀)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어혈을 풀어주는 작용이 있어, 타박상이나 혈류 정체로 인한 증상을 완화합니다.
적용: 타박상, 근육통, 혈액순환 장애.

■ 건비화습(健脾化濕)
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체내 습기를 제거해 소화를 돕고 위장 기능을 개선합니다.
적용: 소화불량, 복부 팽만, 설사.

■ 소풍산한(疏風散寒)
풍한(風寒)을 제거하고 몸의 기운을 순환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적용: 감기 초기, 몸살, 두통.

■ 진정작용(鎭靜作用)
몸과 마음을 안정시켜 불안감, 초조함을 줄이는 데 사용됩니다.
적용: 불면증, 신경 쇠약.

■ 보간익신(補肝益腎)
간과 신장을 보충하고 강화하는 작용으로, 만성 피로와 허약 체질 개선에 기여합니다.
적용: 만성 피로, 허리 통증, 음허증.

■ 거담지해(祛痰止咳)
가래를 제거하고 기침을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어 호흡기 질환에 자주 사용됩니다.
적용: 기관지염, 천식, 만성 기침.

 

정말 여러가지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세상에 무조건 좋은 건 없습니다.

 

전통 기록에서 한채 복용 시에는 황형엽(광곽향)이라는 것과 같이 병용하지 말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지체에 마비가 온다고 되어 있네요.

 

물론 현대 한의학적 연구에서 확증된 바는 적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약재를 사용하시거나 사용할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전문가와 상의를 한 후 복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식물마다 복용 방법 및 제조 과정이 다 다르니까요.

 

 

마지막으로...

 

세상의 모든 식물을 리뷰할 때까지 열심히 달려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내주변 잡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 주변 잡초 - 가시엉겅퀴  (23) 2024.11.23
집 주변 잡초 - 익모초  (19) 2024.11.21
집 주변 잡초 - 냉이  (19) 2024.11.19
집 주변 잡초 - 우산이끼  (16) 2024.11.17
들판 잡초 - 돌나물  (15) 2024.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