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주변 잡초

집 주변 아파트 단지의 잡초 - 왜제비꽃

by 식물길드장 2024. 10. 8.

 

 

분리수거를 하다가 발견한 "넓은잎외잎쑥" 편에 이어 이 친구도 궁금했습니다.

 

식물을 잘 모르는 저에게 그저 취나물인가? 하는 생각을 들게 만드는 녀석이었습니다.

 

그래서 폭풍검색!

 

이 잡초의 이름은...

 

왜제비꽃

학명: Viola japonica Langsd. ex Ging.
계: 식물계
문: 속씨식물강
강: 쌍떡잎식물강
목: 제비꽃목
과: 제비꽃과
속: 제비꽃속
개화기: 3월~5월
꽃색: 연보라색
형태: 여러해살이풀

 

 

제비꽃의 한 종류였습니다. 근처에 연보라색의 꽃을 피운 식물들이 바로 이 녀석이었나 봅니다.

 

제가 알기로 제비꽃은 그 쓰임새가 딱히 없다고 알고 있었는데, 한번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민간요법에서 화농성 피부질환이나 염증성 질환에 대해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제비꽃(Viola mandshurica)의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다. 제비꽃 10 g에 200 mL의 네 가지 용매(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를 각각 가하여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얻었다. 이용매별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이 34.49 mg/g 갈산 당량으로 가장 높았고,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아세톤 추출물이 1,000𝜇𝑔/𝑚𝐿1,000μg/mL 농도에서 각각 21.13%와 43.53%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환원력의 경우에는 물 추출물이 1,000𝜇𝑔/𝑚𝐿1,000μg/mL 농도에서 0.454의 값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당뇨 활성은 𝛼α-amylase와 𝛼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으로 측정하였는데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활성이 높았으며 1,000𝜇𝑔1,000μg/mL 농도에서 모든 효소 활성들을 저해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비꽃 추출물은 항산화능과 당뇨 관련 효소에 대한 저해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국내논문] 제비꽃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Amylase와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에서 발췌

 

 

세상에 쓸모없는 생명은 없다. 라는 것을 대변하듯 역시나 효능이 있습니다. 물론 연구 목적 외에 실생활에서 사용되지는 않지만요.

 

마지막으로...

하나의 잡초가 제 머릿속에서 "왜제비꽃"이라는 이름의 식물로 자리잡는 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